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Nabucco) 3 2장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입니다.

 

황금빛 날개를 타고 날아가자.

저 산비탈과 언덕까지

바람결에 부드럽고 감미로운

내 고향 땅의 향기가 날리는 그곳

 

요단강변에도 인사를 하고

무너진 시온성에도 찾아가야지

 

, 사랑스런 내 조국

지금은 빼앗긴 남의 땅

, 소중하고 가슴 아픈 기억들이여!

 

선지자들의 금빛 하프여,

왜 묵묵히 버드나무 가지에 걸려있기만 하느냐?

우리 마음 속에 자리한 그 아픈 기억들을 되살려다오.

지나간 날들의 이야기를 들려다오!

예루살렘의 슬픈 운명을 기억하도록……

 

슬픈 비탄의 노래를 들려다오

그리하여 하나님을 기억하여

그 도우심으로 이 아프고 어려운 날들을 이겨나갈 수 있도록…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아침이 주는 이미지는 희망적인 것이죠. 하지만 고난 중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아침은 고통스러운 하루가 시작되는 시간입니다. 저녁이 오고 밤이 와서 꿈속으로 피하여 현실을 잊고만 싶은 사람들에게는 아침은 반갑지 않은 시간이죠. 바빌론에 노예로 끌려간 이스라엘 사람들에게도 하루 하루가 고통스러운 시간이었을 것입니다. 특히 아침이 견디기 힘든 시간이었겠죠….

아침에 밝아오는 동녘 하늘가에서 쏜살같이 퍼져나가는 햇살을 볼 때면 바빌론의 히브리 노예들의 마음은 햇살을 따라서 서편으로 서편으로 그리운 고향 유대를 향해 날아가곤했겠죠. 위 노랫말을 쓴 솔레라(Temistocle Solera)는 이를 “황금날개(햇살)를 타고 날아가보자…”라고 표현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상념으로나마 그려보는 그리운 고향은 더이상 정겨운 곳이 아니죠. 바빌론의 3차례에 걸친 침공으로 시온 산성은 무너지고 예루살렘과 여러 도시들은 처절하게 파괴되고 그리운 얼굴들은 모두 전란으로 생명을 잃거나 노예로 끌려와서 죽지 못해 사는 신세가 되고 말았죠. 고향땅은 이제는 돌아가 본들 반겨줄 그리운 사람 없는 황량한 땅일 뿐입니다. 평화롭게 고향에서 살던 옛기억들은 모두 가슴 아픈 추억일 뿐입니다.

하지만 위 노랫말을 쓴 시인(솔레라)은 히브리 노예들로 하여금 이런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이붓게’ 하죠. 바빌론 강가의 버드나무 가지에 걸려있는 더이상 노래하지 않는 하프에 주목하게합니다.

하프는 구약 성경 시편 137편에서 그 모티프를 따온 것 같습니다. 이 시편을 요약하여 잠간 옮기면 다음과 같죠…

 

우리가 바벨론 강변에 앉아서

시온을 생각하며 몹시 울었도다.

우리를 사로잡아다가 노예로 일을 시키는 자들이

재미 삼아서 우리로 하여금 시온의 노래 하나를 불러보라고 하지만

이방 땅에서 우리가 어찌 여호와의 노래를 부를소냐.

도저히 하프를 탈 수 없고 아무 노래건 할 수 없어서

이를 버느나무 사이에 걸어두었노라.

 

위의 노랫말에서는 선자자들의 금빛 하프에 빌어서 지나간 슬프고 가슴 아픈 예루살렘의 운명을 다시 기억하게 해 달라고 하지만 이는 실은 가슴 속에 뼈 아프게 새겨져 있어서 한시도 잊을 수 없는 기억인 것이죠.

침공해 온 바빌론군에게 포위되어 맞선 수년간의 공성전 끝에 식량이 떨어져서 수많은 어린이들과 부녀들 노약자들이 굶어 죽고, 결국 예루살렘 성이 함락되어서 수많은 사람들이 피의 살육을 당하고 하나님의 성전과 왕궁과 모든 집들이 불타버렸죠(52:13-14). 시드기야 왕은 경황 중에 몸을 빼서 여리고로 도망치다가 바빌론 군에게 사로잡혀서 자신의 아들들이 눈 앞에서 살해되는 것을 두 눈으로 지켜볼 수 밖에 없었죠. 결국 바빌론군들은 시드기야 왕의 두 눈을 뽑아버리고 그를 바빌론으로 끌고갑니다. 조카(여호야긴왕)를 바빌론으로 잡아가고 자신을 왕좌에 올려 준 바빌론을 배신하고, 눈물의 선지자 예례미야의 거듭된 만류에도 불구하고, 애굽에 빌 붙어서 바빌론에 대항해 보려다가 불러들인 파국적인 재앙이었죠.

바빌론의 유프라테스 강가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리던 노예들은 예루살렘의 슬픈 과거 슬픈 운명을 기억하며 그 너머로 하나님 앞에서 패역했던 자신들의 죄악을 기억하고 또 그러한 자신들에게 예례미야 선지자들 통해서 주셨던 하나님의 경고를 기억해 냅니다. 또한 그러한 가운데 틈틈이 주셨던 하나님의 새 약속을 붙잡고 일어섭니다. 바벨론이 멸망할 것이며 이스라엘을 유대로 복귀시키실 것이란 약속의 말을 의지하며 버텨나갑니다. 그래서 이 노래는 비탄의 슬픈 기억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지만 희망을 노래하는 곡이죠. 그런 면에서 고난에 처한 사람들에게는 많은 위로와 살아나갈 희망을 주는 곡이기도 합니다.

이 합창곡이 나오는 베르디(Giuseppe Verdi)의 오페라 나부코(Nabucco)는 이태리어로 느부갓네살(2)왕을 지칭하는 Nabucodonosor의 줄임말입니다. 이 오페라를 작곡할 당시 베르디는 처음으로 작곡한 오페라가 1840년에 대실패를 하고 아내와 아들을 연속적으로 잃고 실의에 잠겨 두문불출하고 있었습니다.

스칼라 좌의 지배인 밀레리는 재능있는 작곡가가 실의에 잠겨서 작곡을 그만 두는 일이 생길까봐 베르디에게 의욕을 불러일으킬 오페라 대본을 계속적으로 구하고 있다가 성경에 나오는 바빌론의 느부갓네살 2세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대본을 구하게 됩니다. 이 대본은 그의 생각대로 베르디를 매혹시키고 베르디는 열성을 다해 작곡을 마치게 됩니다.

1842 3월에 밀라노의 스칼라좌에서 초연한 이 오페라는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당시 이탈리아는 여러개의 소국으로 나뉘어 실질적으로 오스트리아의 지배하에 있었습니다. 절망과 실의, 패배감에 잠겼던 이탈리아 국민들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노래하는 히브리 노예들의 이야기가 자신들이 처한 상황과 유사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들의 애국심을 강하게 자극하는 이 오페라에 더욱 열광하게 되었고 특히 32장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에 매료됩니다.

이 노래가 불리는 대목에서는 청중 모두가 열광적으로 앵콜을 외쳐서 하는 수 없이 이 노래는 공연할 때마다 2번씩 부를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차차 공연 중에 관중 모두가 이 노래가 연주될 때면 목소리를 합쳐서 이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이 전통처럼 되어버렸답니다.

공전의 대성공을 거둔 이 오페라의 덕분에 베르디는 국민적인 영웅이 되고 베르디가 입던 스타일의 양복과 타이도 대 유행을 했다고 합니다. 이 노래는 차차 국민들 사이에서 통일에 관한 소망을 대변하는 이탈리아의 제 2의 국가처럼 불리게 됩니다. 1901년 베르디의 장례식에서도 이 노래가 800명으로 구성된 합창단에 의해서 토스카니니의 지휘로 연주되었죠…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중의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입니다. 가사를 음미하며 한 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공연(2002년 New York Metropolitan Opera House)에서도 이 곡은 2번 연주됩니다…^^